공부하기/경제용어3 [경제용어] 슈바베지수 Schwabe Index 가계 소득 대비 주거비용이 차지하는 비율 고소득층일수록 슈바베지수는 낮으며 저소득층일수록 슈바베지수는 높다. 슈바베지수가 25%가 넘으면 빈곤층에 속한다고 본다. 독일 통계학자 슈바베의 이름을 땄다. 1868년 베를린의 가계조사를 진행했던 슈바베는 저소득층일수록 주거비 비중이 커져 주택 부담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는데, 오늘날 슈바베 지수는 엥겔지수와 함께 빈곤의 척도를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주거비는 집세, 상하수도비, 냉난방비, 주택 유지 · 수선비, 주택 관리비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슈바베 지수는 저소득층일수록 높고 고소득층일수록 낮다. 슈바베 지수를 근거로 저소득층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나라도 있다. 미국이 그런 경우로, 미국은 슈바베 지수가 25퍼센트를 넘어선 .. 2021. 8. 16. [경제용어] 엥겔지수 Engel’s coefficient 총 가계지출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 일정 기간 가계 소비지출 총액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로서, 가계의 생활수준을 가늠하는 척도이다. 엥겔계수 = (식료품비 ÷ 총지출액) × 100 독일의 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Ernst Engel)의 논문 발표에서 유래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은 연구를 통해 가계 소득이 높아질수록 식료품비의 비중이 감소한다는 가계 소비의 특징을 발견했다. 가계 소득이 올라도 필수 소비품목인 식료품의 소비량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식료품비가 소득에 비례해 늘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소득이 오를수록 엥겔지수는 낮아진다! 엥겔은 엥겔지수가 25% 이하이면 소득 최상위, 25~30%이면 상위, 30~50%이면 중위, 50~70%이면 하위, 70.. 2021. 8. 15. [경제용어] 립스틱 효과 Lipstick effect 경기불황기의 저가제품 선호현상 경제적 불황기에 나타나는 특이한 소비패턴으로, 소비자 만족도가 높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사치품(기호품)의 판매량이 증가하는 현상이다. 본래는 립스틱만 발라도 분위기를 바꾸는 효과를 얻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것이 경제상황에 도입되면서 경제적 여건이 어려울 때 립스틱처럼 저렴한 가격으로 만족할 수 있는 제품이 인기를 끄는 현상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와 비슷한 의미로 남성들에게 적용되는 '넥타이효과'를 들 수 있다. 대공황기에 립스틱 매출이 증가한 현상에서 유래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 시절, 산업별 매출 통계에서 경제가 어려운 데도 불구하고 립스틱 매출은 오르는 기현상이 확인되어 경제학자들이 붙인 용어이다. 최저 비용으로 최대 만족을 찾는 소비자들 이러한 매출 증가 .. 2021. 8. 13. 이전 1 다음 반응형